본문 바로가기

매일매일 필사 기록

후회하지 않아요?

728x90

필사내용

목욕할 때에 생기는 비누거품과 땀과 때, 그리고 기름기가 있는 물을 보면, 너는 역겨워 하지만, 인생의 모든 부분과 인생에서 만나는 모든 것들이 그런 것들이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 p.158


오늘의 생각


살아오면서 나에게 가장 큰 실패는 무엇인가?
내가 몸서리치며 후회한 사건은 무엇인가?



최근 3년간 인생의 찬미로 가득한 자기 계발서를 많이 읽어서 그런지, 실패하고 후회한 경험이 잘 기억나지 않는다.


“나는 운이 너무 좋아서 모든 것들이 다 잘 풀렸어. 살아오며 나빴던 기억은 없었어. 나는 내 인생에 감사해.”


내 인생을 요약하면 이 세 문장으로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이 내가 살아온 날들의 전부일까?
나는 정말 후회 없는 인생을 살았을까?

고등학교 때 낯선 지역으로 진학한 나는 일종의 텃세를 경험했다. 지명을 잘 모르는 촌동네에서 수도권 주민이라면 익히 알만한 동네로 진학했다. 그래서 텃세라는 것이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진 못했다. 사람들이 이름만 대면 알만한 큰 도시에 텃세가 있다는 건 좀 이상했다.

하지만 고등학교 어린 시절이라 그랬는지 그런 게 있었다. 그 동네 중학교 출신들이 삼삼오오 패거리를 만들어 다른 곳에서 온 아이들을 배척했다.


나는 수가 적지만 다른 곳에서 온 아이들 무리의 대장이 되었다. 그리고 텃세의 수호자 역할을 자처했다. 그 동네 살았다는 게 큰 유세거리라도 되는 양 행동하는 꼴들이 아니꼬웠다. 그래서 뒤집어버리고 싶었다.


고등학교 2학년이 되었을 때 학생회장 선거를 했다. 나는 몇 안 되는 친구들을 모아 회장선거에 출마했다.

눈에 안 띄는 일진짓거리는 쉽고 편해도 남들 앞에 공개적으로 나서서 일해야 하는 회장자리는 원하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다. 아마 귀찮았을 것이다. 자기들이 이미 다 잡아 놓은 터에 공식적인 권력이 뭐 더 필요했겠나?

회장선거 출마자는 별로 없었고 이점은 나에게 호재로 작용했다. 인지도도 별로 없던 군소후보가 일약 2위 후보로 발돋움한 것이다.



선거구도가 만든 허황된 지지였지만, 선거는 사람을 미치게 했다. 내가 뭐라도 된 것처럼 들떴다. 키 큰 친구 목마를 타고 왕처럼 유세를 하고 다녔다. 정말 회장 당선이 될 것 같았다.



하지만 현실은 현실이었다. 선거 결과 그 동네 출신이 회장이 되었고, 그 회장은 내가 제일 꼴 보기 싫어했던 덩치 큰 놈을 선도부장으로 임명했다. 텃세는 결국 권력이 되었다.

나는 3등을 해서 부회장이 되었다. 나름 학생회 집행부가 된 것이다. 그렇게 소위 ‘아싸’에서 ‘인싸’가 된 나는 한 줌도 안 되는 권력을 마음대로 누렸다. 야간 자율학습시간에 학생회 회의라는 명목으로 공식적 땡땡이를 칠 수 있었고, 그렇게 꼴 보기 싫어했던 텃세 주동자들과 친구를 먹었다. 선거는 사람을 미치게 했고 권력은 사람을 부패하게 했다. 이것이 나의 후회요 실패의 흔적이다.

소설가 다자이 오사무는 인간실격에서 이런 문장을 썼다.

“부끄럼 많은 생애를 보냈습니다.”


내 고등학교 때의 삶을 표현한 것과 다르지 않다. 이런 후회가 있는 삶인데 왜 나는 ‘운 좋은 놈, 인생은 감사할 것 투성이’와 같은 인생 찬가만 부르짖고 다녔는가? 그건 아마도 후회스럽고, 부끄러운 경험은 내 삶의 일부가 아니라고 배척했던 건 아니었을까?

마치 ‘후회와 실패’는 ‘행복과 감사’라는 동네 주민이 될 수 없다고 텃세를 부린 것은 아닐까!

필사